HTML 문서는 가장 먼저 doctype을 선언한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다.
<!DOCTYPE html>
이건 html 태그는 아니다.
브라우저한테 말하는 내용이다.
이 파일은 이러이러한 언어로 만들었고,
html 어떤 버전으로 쓴 문서니까,
그에 따라서 해석해 달라고 부탁한다.
html5 버전부터는 선언이 훨씬 간단해진다.
<!DOCTYPE HTML>
위 한 문장으로 끝난다.
html4 버전까지는 선언이 복잡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EN" "http://www.w3.org/TR/html4/strict.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html4/loose.dtd">
<!DOCTYPE HTML PUBLIC "-//W3C//DTD HTML 4.01 Frameset//EN" "http://www.w3.org/TR/html4/frameset.dtd">
(순서대로, 엄격모드, 호환모드, 프레임세트 모드)
html4 버전까지가 더 복잡한 이유는 뒤에 DTD 참조를 붙여 줘야 하기 때문이다.
DTD란, DTD / Document Type Definition 의 줄임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