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통신 네트워크

(5)
프로토콜이란? protocol 종류와 의미 정리 (TCPIP / HTTP / SMTP / FTP 등) - protocol 이란 무엇일까? - '프로토콜 - protocol'이란 무엇일까요? 직역과 의역으로 나눠 봤습니다. 먼저 직역입니다. 사전을 찾아보면 프로토콜은 다음과 같습니다. "의례, 협약, 규약, 조약" 한마디로 '약속'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다음은 의역입니다. 통신 프로토콜을 쉽게 풀어보면 “나는 이렇게 줄 테니 넌 이렇게 받고 난 네가 준 거 그렇게 받을게” 정도가 되겠네요. (인용 출처 - https://joshua1988.github.io/web-development/http-part1/)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을 미리 정해 놓은 약속 정도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그렇다면 많이 쓰는 프로토콜은 어떤 종류가 있는지 알아봅시다. - TCP/IP - TCP/IP는 TCP와 IP를 합쳐서..
ssl / tls 란? 뜻과 차이. https 에서 보안 원리 - 'SSL' 은 뭐고 'TLS' 는 뭐지?- SSL은 NETSCAPE 에서 만들었다. 근데 점차 많이 쓰고 보편화되면서 표준으로 인정 받았다. 표준화 기구인 IETF에서 관리하기 시작했다. 관리 기관이 넘어가면서 이름도 새로 바꿨다. 이때 바뀐 이름이 TLS이다. 결국 ssl과 tls는 같은 개념인데, 이름만 바뀐 것이다. - SSL 을 이용하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때, 그 중간에서 제 3자가 보증해 준다. 무엇을 보증해주는가? 클라이언트가 지금 접속하려는 서버가 정상적이고 유해한 서비스가 아니고 유사한 사칭 사이트가 아니라는 점을 보증해 준다. 어떤 방식으로 보증을 해주겠다는 걸까? 일단 클라이언트가 어떤 서버에 접속하면 그 서버에서는 가장 먼저 자기네..
subnet mask 뜻과 의미 / 서브넷 마스크 란? 처음에는 개수가 충분했다. 한 사람당 하나씩 주소를 부여했다. 모든 사람이 각자 자기 IP를 가졌다. 그런데 점점 개수가 부족해지기 시작했다. 인터넷 사용 인구 자체도 들어나게 되었고, 한 사람이 여러 PC를 사용하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쓰는 동안만 대여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IP주소가 24시간 계속 필요한 경우는 서버 쪽이다. 컴퓨터를 24시간 켜 놓고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반대로 클라이언트 쪽은 오래 쓰는 편은 아니다. 요청을 보내거나 응답을 받을 때만 켜서 쓴다. IP주소도 그때만 필요하다. 그럼 당장 쓰는 시간 동안에만 빌려주고, 안 쓰는 시간에는 반납해도 되지 않을까? 그러면 지금 당장 쓰는 사람들끼리 돌려가면서 쓸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되면 한정된 IP 개수만..
MAC address / ip 주소 차이 MAC과 IP는 한 개체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다. MAC은 가까운 규모에서 개체를 찾을 때 쓴다. IP는 더 넓고 큰 규모에서 개체를 찾을 때 쓴다. 컴퓨터를 여러 대 연결하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모임은 구성원이 적다. 서로 고유 식별 번호로 부르더라도 찾는 데까지 오래 걸리지 않는다. 이러한 층위로 컴퓨터를 연결한 상태를 '데이터 링크'라고 부른다. 컴퓨터를 여러 대 연결했다면 그 묶음을 '노드'라고 부르자. 이어서 이런 노드들을 모아서 다시 묶을 수도 있다. 이러한 층위로 연결한 상태는 '네트워크'라고 부른다. 우리끼리 둘러앉아 있을 때는 MAC으로 불러도 상관이 없었다. 몇 명 없었기 때문에 금방 찾을 수 있었다. 구성원이 적은 데이터 링크 단계에서는 MAC이 통했다. 2..
맥 어드레스 란? (MAC address) - 사과 맥북 그런 거 아닙니다 - MAC address - = Media Access Control Address = BIA address > NIC 랜 카드 안에는 ROM이 들어 있다. 이 ROM에는 읽기만 할 수 있는 정보를 심어 놓는다. 애초에 ROM은 Read Only Memory 의 줄임말이다. 예를 들어 간단한 OS나, mac address 등. 이건 사용자가 지우거나 수정할 수가 없다. 읽기만 할 수 있다. 그래서 굽는다고도 한다. burn 된 건 되돌릴 수가 없으니까. Burnded - In MAC Address 해서 BIA 라고도 한다. MAC 주소로 연결된 링크를 ethernet이라고도 함. - MAC address랑 IP address랑 무슨 차이지? - > mac은 컴퓨터끼리 MAC 주소를 가지고 직접 연결해 놓..

반응형